• 본문 바로가기
  • 주메뉴 바로가기
  • 서브메뉴 바로가기
이순행
이순행
  • 세부전공 : 발달 및 발달임상심리 전공
학위
  • 이화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 심리학과 발달 및 발달임상심리 전공
  • 이화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 심리학과 발달심리 전공
  • 이화여자대학교 교육심리학과 (문학사)
경력
  • 자격증
  • 발달재활서비스 놀이심리재활 제공 인력(2020-T040004호)
  • 한국심리학회 공인 ‘발달심리전문가(00-1-39)’ 수련감독자
  • 한국기독교상담심리치료학회 놀이아동상담사 수련감독자(한기상-17-CP-01)
  • 한국발달지원학회 놀이심리상담수련감독자(P1-006)
  • 한국발달지원학회 모래놀이 심리상담사 1급(S2-002)
  • 베일리아동발달평가사 수련감독자(B1-001)
  • 중등교사 2급 정교사 교원 자격증(이화대 제 7360호)
  • 임상 경력
  • 이화여자대학교 아동발달센터(구,발달장애아동센터) 심리치료실 연구원
  • 전) 사단법인 인간발달복지연구소 부소장
  • 연구경력
  • 전) 가천대학교 세살마을 SSK 연구센터 연구교수
  • 전) 이화여자대학교 심리학과 박사후과정 연구원
  • 대학 강의 경력
  • 2020. 9. ~ 현재 가천대학교 특수치료대학원 초빙교수
  • ‘부모교육’, ‘발달진단 및 심리평가’, ‘발달놀이치료’, ‘Practicum Training’, ‘질적연구방법’, ‘임상심리학’
  • 2012. 3. ~ 현재 이화여자대학교 심리학과 강의
  • ‘놀이치료’, ‘놀이치료 관찰 및 실습’, ‘놀이치료 실습 수퍼비젼’
  • ‘고급발달심리’, ‘발달심리’, ‘아동발달’, ‘성인 및 노인 심라학’, ‘발달정신병리‘, 성차심리학’등 강의
  • 2019. 9. ~ 현재 상명대학교 교육대학원 상당심리/통합심리치료대학원 강의
  • ‘특수아 상담’, ‘심리검사’, ‘심리학 개론’, ‘인지심리학’ 강의
  • 학회 및 기타 활동
  • 2023. 1. ~ 현재 한국발달심리학회 교육위원회 운영위원.
  • 2020. 1. ~ 현재 한국아동심리치료학회 이사, 교육위원회 운영위원
  • 2018. 8. ~ 현재 한국아동심리재활학회 이사, 교육위원회 운영위원, 외부 편집위원
  • 2016. 1. ~ 현재 한국발달지원학회 학술위원장, 놀이치료 수련감독,
  • 베일리영유아발달검사 수련감독
  • 2016. 1. ~ 현재 한국기독교상담심리치료학회 외부 편집위원
  • 2015. 11. ~ 현재 사회복지법인 상금 이사
  • 2017. 1. ~ 2017.12 한국발달심리학회 학술위원회 운영위원
논문
  • 논문 발표
  • ● 박현옥, 이윤경, 이순행, 서민경, 박나리. (2023). 국립특수교육원 자폐성장애 검사도구(NISE-K․ART) 표준화 연구. 자폐성장애연구, 23(2), 81-110.
  • ● 박소희, 임나영, 이순행. (2022). 대학생의 진로 탐색을 위한 집단미술치료 적용에 대한 실행 연구. 발달지원연구, 11(3), 81-107.
  • ● 이효정, 이영선, 김소윤, 박현옥, 이순행, 이윤경 (2022). 자폐성장애 특수교육대상자 선정을 위한 특수교육지원센터 평가 현황 및 요구. 특수교육, 21(2), 117-141.
  • ● 이순행, 이효정, 이영선, 김소윤 (2022). 자폐성장애 검사도구에 대한 체계적 문헌고찰. 자폐성장애연구, 22(1), 31-54.
  • ● 송향화, 서은희, 이순행 (2020). 학교 부적응 청소년의 상담 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. 교육심리연구, 34(1), 207-231.
  • ● 정미라, 강수경, 이순행 (2018). 참여적 유아 부모교육 프로그램 실행을 통한 연구자와 참여자의 교량 만들기.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, 18(12), 773-804.
  • ● 안소현, 유은영, 이순행 (2018). 한국형 베일리 영유아 발달검사 3판 대근육 운동척도의 타당화 연구. 대한작업치료학회지, 26(2), 81-97.
  • ● 이순행, 이희연, 정미라 (2018). 한국판 성인놀이성 척도(K-APTS) 타당화 연구. 한국심리학회지: 건강, 23(2), 397-425.
  • ● 정미라, 조혜영, 이순행 (2018). 6개월 영아기 자녀를 둔 부모의 배우자 지지, 양육효능감 및 양육스트레스 간의 구조적 관계에 대한 다집단 분석. 한국보육지원학회지, 14(2), 39-58.
  • ● 강수경, 이순행, 정미라 (2018). 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놀이성이 양육행동에 미치는 영향: 자기통제 및 자기관리의 매개효과. 어린이문학교육연구, 19(1), 205-223.
  • ● 정미라, 이순행, 김종훈 (2017). The Relationship between Language and Cognitive Development and Its Relevance for Infants' Mental Ability: Longitudinal Mediation Effects of Fine Motor Development. Communication Sciences & Disorders, 22(4), 629-642.
  • ● 이슬아, 이순행, 방희정 (2017). 초기 인지능력과 유아기 지능 간의 관련성: 한국형 베일리영유아발달검사 제3판을 이용한 단기종단연구. 아동학회지, 38(6), 35-50.
  • ● 임유진, 방희정, 이순행 (2017). 베일리영유아발달검사 제3판(Bayley-Ⅲ)의 미국 규준 적용의 문제, 한국심리학회지: 일반, 36(1), 81-107.
  • ● 이순행, 이은지 (2017). 놀이치료에서 ‘치료적 현존’ 개념 고찰: 치료적 관계의 안전감을 매개하는 다미주신경이론 기제. 놀이치료연구, 21(1), 21-39.
  • ● 이순행 (2016). 현대애착이론과 놀이의 역동: 놀이치료 적용을 중심으로. 한국인간발달학회, 23(2), 1-28.
  • ● 이순행 (2016). 치료적 관계와 놀이의 발생. 놀이치료연구, 20(2), 41-56.
  • ● 이순행, 안소현, 이은지, 방희정 (2014). 한국형 베일리 영유아 발달검사 3판 소근육 운동척도 예비 연구. 한국아동학회, 35(5). 37-61.
  • ● 이지연, 김영태, 방희정, 이순행 (2014). A Preliminary Study on Standardizing the K-Bayley-III Expressive Communication Scale. Communication Sciences & Disorders, 19(3), 320~330.
  • ● 김지혜, 방희정, 이순행, 김현미, 남민 (2014). 한국형 베일리 영유아 발달검사 3판 사회정서척도 예비 연구. 인간발달학회, 21(2), 201-225.
  • ● 오수경, 방희정, 이순행 (2014). 한국형 베일리 영유아 발달검사 3판 인지척도 예비 연구. 한국심리학회: 발달, 27(1), 117-140.
  • ● 전경숙, 방희정, 이순행 (2012). 베일리 영유아 발달검사(3판)-인지척도의 한국 표준화를 위한 예비 연구. 한국발달지원연구, 1(2), 165-185.
  • ● 김보경, 방희정, 이순행 (2012). 애착 안정성 및 어머니의 분리방식이 어린이집 초기 적응에 미치는 영향: 학령 전기 아동 발달 연령의 조절 효과. 한국발달지원연구, 1(1), 1-17.
  • ● 안소정, 방희정, 이순행 (2010). 문법형성단계 2-3세 아동의 세부 몸짓 사용 비율의 변화: 사상적 몸짓을 중심으로. 한국심리학회지: 발달, 23(1), 33-50.
  • ● 이유진, 방희정, 이순행 (2009). 베일리 영유아 발달검사 3판 표현언어 척도의 한국 표준화를 위한 예비연구. 한국 심리학회지: 발달, 22(2), 59-77.
  • ● 심효진, 방희정, 이순행 (2009). 베일리 영유아 발달검사 3판 수용언어 척도의 한국 표준화를 위한 예비 연구. 한국 심리학회지: 발달, 22(1), 73-91.
  • ● 최수진, 방희정, 이순행 (2009). 화용론적 관점에서 본 한국 영아의 명사 및 동사 습득의 양상: "산출"과 "이해"를 중심으로. 한국 심리학회지: 발달, 22(1), 115-137.
  • ● 홍미림, 방희정, 이순행 (2007). 어머니-유아 문제해결 상호작용에서 유아 행동특성과 관련변인 간의 관계: 어머니 행동특성, 애착 안정성, 유아의 기질을 중심으로. 한국심리학회지: 발달, 20(1), 123-146.
  • ● 박혜주, 이순행, 최해훈, 방희정 (2005). 낯선 상황에서의 영아들의 애착과 정서 조절간의 관련성. 한국심리학회지: 발달, 18(2), 23-38.
  • ● 성희용, 방희정, 이순행 (2005). 문제 해결 상황에서 어머니 행동 특성과 애착 안정성이 유아의 행동특성에 미치는 영향, 한국 심리학회지: 발달, 18(2), 57-74.
  • ● 김은하, 최해훈, 이순행, 방희정 (2005). 12-18개월 영아의 애착 행동 특성 연구. 아동학회지. 26(4), 35-54.
  • ● 김아영, 김현정, 이순행 (2002). 한국판 영유아기 자폐 선별 검사(K-CHAT) 개발 연구. 한국심리학회지: 발달, 15(3), 17-33.
  • ● 신의진, 이순행, 이경숙, 전여숙, 노경선, 민성길 (1996). 반응성 애착장애 아동의 애착유형. 신경정신의학, 35(6), 1330-1338.
  • 학술대회 발표
  • ● 박혜원, 이순행, 이경옥 (2023). 한국 베일리영유아발달검사 4판(K-Bayley-4) 표준화를 위한 예비 연구. 한국심리학회 연자학술대회 포스터 발표(발달 분과). 수원컨벤션센터. (2023. 8. 18).
  • ● 이순행, 이은지, 방희정 (2018). K-Bayley-III에서 나타난 한국 영유아의 발달 특성. 한국심리학회 연차학술대회 구두 발표(발달분과). 세종대학교. (2018. 8. 17)
  • ● 이순행, 강은영, 이영은, 정미라 (2017). 부모와 함께 양육프로그램 만들어가기: 이론과 실천의 교량으로서의 실행연구. 한국심리학회 연차학술대회 심포지엄 구두 발표(측정분과). 세종대학교. (2017. 8. 17.)
  • ● 방희정, 남민, 이순행 (2016). 한국형 베일리영유아발달검사(K-Bayley-III) 표준화 연구. 한국발달심리학회 연차학술대회 포스터 발표. 중앙대학교 100주년 기념관(2016.10.29.)
  • ● 이순행 (2016). 어린이집에서 영아가 경험하는 돌봄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: 애착 현상을 중심으로. 한국심리학회 연차학술대회 심포지엄 구두 발표(측정분과). 군산새만금컨벤션센터(2016.8.20.).
수상
  • 2017. 7. 21. 세종도서 학술부분 우수도서 (한국출판문화산업진흥원)
  • 2016. 10. 29. 한국발달심리학회 연차학술대회 포스터 발표 우수상 (한국발달심리학회)
  • 2015. 8. 28. 이화여자대학교 우수학위논문상 (이화여자대학교)
출간 서적
  • 검사 도구
  • ● Bayley Nancy, 방희정, 남민, 이순행. (2019). (K-Bayley-III) 한국형 베일리 영유아 발달 검사 제 3판(공저, 2019. 1. 7) 실시지침서. 서울: 인사이트 심리검사연구소.
  • ● Bayley Nancy, 방희정, 남민, 이순행. (2019). (K-Bayley-III) 한국형 베일리 영유아 발달 검사 제 3판(공저, 2019. 1. 7) 기술지침서. 서울: 인사이트 심리검사연구소.
  • 전문 서적
  • ● 이순행, 심혜원 (2022) (아동 장애별 치료를 위한 적극적이고 효과적인) 놀이치료 기법. 서울: 학지사.
  • ● 강수경, 변혜원, 이방실, 이순행 (2022). 행복한 육아, 공동육아를 말하다(공저, 2022. 06. 30). 파주: 양서원.
  • ● 이순행, 윤진영, 박랑규 (2021). 놀이의 대인관계 신경생물학(공역, 2021. 6. 15), 서울: 학지사.
  • ● 윤진영, 최해훈, 이순행, 박혜근, 최은실, 이은지, 김지연 (2019). 놀이치료 2: 임상적 적용(공역, 2019. 7. 30). 서울: 학지사.
  • ● 이순행, 최해훈, 박혜근, 윤진영, 최은실, 이은지, 김지연 (2018). 놀이치료 1: 이론과 기법(공역, 2018. 8. 30). 서울: 학지사.
  • ● 방희정, 이순행 외 공역 (2018). 마음의 발달 : 인간의 마음을 형성하기 위한 대인관계와 두뇌의 상호작용(공역, 2018). 서울: 하나의학사.
  • ● 방희정, 남민, 이순행, 김호정, 이은지 (2016). Bayley-III 임상적 활용과 해석(공역, 2016) 서울: 시그마프레스
  • ● 방희정, 이순행 외 공역 (2015). 인간의 발달 (출생부터 성인기까지 위기와 적응에 대한 미네소타 연구). 서울: 학지사
  • ● 이순행 외 공역, (2009). 놀이치료기법(공역, 2009). 서울: 시그마프레스.
  • 연구보고서
  • ● 박현옥, 이윤경, 이순행, 서민경, 박나리 (2022). 자폐성장애 검사도구(NISE-K-ART) 개발 연구(2/2년) (공저, 2022. 12. 01). 충남: 국립특수교육원.
  • ● 박현옥, 이윤경, 이순행, 서민경, 박나리 (2022). 자폐성장애 검사도구(NISE-K-ART) 실시지침서 (공저, 2022. 12. 01). 충남: 국립특수교육원.
  • ● 이효정, 박현옥, 이영선, 이윤경, 이순행, 김소윤 (2021). 자폐성장애 검사도구 개발 연구(1/2년) (공저, 2021. 11. 30) 충남: 국립특수교육원.
  • 부모양육 지침서
  • ● 이화여자대학교 아동발달센터, 이승연, 박혜근, 이순행, 장희정, 최윤미. (2021). 코로나시대 아이생활처방전(공저, 2021). 서울: 와이즈맵.
  • ● 이순행 외 공저 (2012). 대단한 아기두뇌 오브레인 부모길잡이책). (주)웅진씽크빅
  • ● 이순행 외 공저 (2009). 동글세모 Q & A(부모에게 들려주는 사회성 이야기, 웅진다책
  • ● 이순행 외 공저 (2008). 답답한 아이, 속상한 엄마를 위한 아이 심리학. 내일을 여는 책
  • ● 이순행 외 공저 (2007). 소문난 육아책(IQ, EQ 쑥쑥 놀이, 웅진리빙하우스
연구 프로젝트
  • 2023. 9. ~ 현재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 청소년 불안과 제한적 반복적 행동 간의 관 련성: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 부족의 조저 효과를 중심으로
  • (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학술연구교수(B유형) 책임연구원)
  • 2021.10. ~ 현재 베일리영유아발달검사 제4판(K-Bayley-4) 한국판 개발 연구 공동 저 자로 참여. (학지사 인싸이트 지원 과제)
  • 2022. 7. ~ 2022. 9. 두뇌 트레이닝 문항 개발 및 AI 맞춤 솔루션 스크립트 개발(주식회사 달공 의뢰 과제)
  • 2021. 3. ~ 2022. 12. 자폐성장애진단검사개발 공동연구원으로 참여(2021~2022년 국립특수교육원 과제)
  • 2017. 1. ~ 2017. 12. 유전과 환경적 요인 간의 상호작용에 기초한 영·유아기 부모 및 교사 교육 프로그램에 관한 뇌기반적 융합연구 전임연구원으로 참여 (2015년도 교육부 SSK 대형과제)
  • 2012. 12. ~ 2016. 10. 한국형 영유아발달검사 서비스 개발 연구: 한국형 베일리영유아발달 검사 제 3판(K-Bayley-III) 표준화 연구 공동연구원으로 참여 (2012년도 보건복지부 사회서비스 R&D)
  • 2005. 9. ~ 2006. 2. 저소득층 공부방 아동을 위한 분노 조절 프로그램 개발 연구 책임 연구원으로 참여 (사회복지법인 아이들과 미래 지원)
  • 2001. 3. ~ 2002. 2. 저소득층 아동을 위한 사회성 증진 놀이치료 프로그램 연구원으로 참여(이화여대 교내 연구비 지원)
  • 2001. 3. ~ 2002. 2 영유아기 자폐증 선별검사 한국판 표준화 연구 공동연구원으로 참여(파라다이스 재단 연구비 지원)
다음글

다음글이 없습니다.

이전글

권순범

  • 목록